본문 바로가기

경제 재테크 꿀팁17

2025년 확 바뀐 건강보험 연말정산 보수총액신고서 *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제도가 개선되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변경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2025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바뀐점‣ 기존에는 사용자로부터 매년 3월10일까지 보수총액을 신고 받아 처리하였으나, '25년('24년도 귀속분)부터 사용자가 국세청에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를 제출한경우 보수총액을 신고한 것으로 간주하고 공단에서 자료 연계를 받아 연말정산 처리를하게 됩니다.‣ 다만, 국세청에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를 미제출 하였거나, 자료가 오류 누락 등으로인하여 보수월액 산정에 필요한 사항을 확인할 수 없거나, 근무개월수가 불일치한 경우등은 기존과 같이 보수총액을 신고하여야 합니다.X 공단과 국세청에 보수총액 신고대상금액이 서로 다른 경우(항목) 국외근로 소득, 법인대표자 인정상여, 임원퇴직소득 한도 초과액.. 2025. 2. 4.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어떻게 해야 유리할까?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어떻게 해야 유리할까?📌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핵심 전략맞벌이 부부는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누가 받느냐에 따라 환급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부가 각각 연말정산을 진행하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공제 항목을 배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양가족 공제: 소득이 적은 배우자가 받는 것이 유리할까?✅ 신용카드 소득공제: 연봉이 높은 배우자가 더 많이 받아야 할까?✅ 월세 세액공제: 부부 중 누구의 명의로 해야 절세 효과가 클까?💡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필수 체크리스트1️⃣ 부양가족 공제: 소득이 적은 배우자가 공제받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많음2️⃣ 의료비 공제: 총급여의 3%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공제 가능하므로 배분 필요 -> 소득 낮은 사람이 유리3️⃣ 교육비 공제: 고소.. 2025. 2. 4.
연말정산 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무엇이 더 유리할까? 연말정산 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무엇이 더 유리할까?📌 신용카드 vs 체크카드 소득공제 차이연말정산에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는 소득공제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추가적인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사용 금액의 15% 공제✅ 체크카드 & 현금영수증 공제율: 사용 금액의 30% 공제✅ 대중교통 & 전통시장 사용 금액: 사용 금액의 40% 공제💡 카드별 소득공제 유리한 활용법1️⃣ 연초에는 체크카드, 연말에는 신용카드 사용연초에는 공제율이 높은 체크카드를 사용하여 최대 공제 한도를 채우는 전략이 유리합니다.연말에는 신용카드로 변경하여 추가 소비를 분산하면 효과적입니다.2️⃣ 전통시장과 대중교통은 적극 활용전통시장, 대중교통 사용 금액은 40% 공제이므로, 해당 .. 2025. 2. 3.
설해원 부대시설, 숙박 후기(디럭스) 설해원 디럭스 트윈 숙박 후기 & 설해원 부대시설 체험 (노래방, 수영장 & 스파) & 우리나라 10대 골프장 소개 1. 설해원 디럭스 트윈 숙박 후기 1.1 객실 넓고 쾌적한 객실: 킹 사이즈 침대 2개로 넉넉하게 숙박 가능했습니다. 깔끔한 욕실: 샤워 부스와 변기가 따로 있어 편리하게 사용했습니다. 멋진 전망: 객실에서 골프장 전망을 감상하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1.2 편의시설 무료 Wi-Fi: 객실 내에서도 인터넷을 편리하게 이용했습니다. 에어컨 및 난방: 계절에 맞게 쾌적한 온도를 유지했습니다. TV: 다양한 채널을 시청하며 여가 시간을 즐겼습니다. 미니 냉장고: 음료나 간식을 보관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1.3 직원 서.. 2024. 6. 10.